맨위로가기

대현초등학교 (울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현초등학교는 1925년 울산에 개교한 초등학교이다. 1924년 설립 인가를 받아, 대현공립보통학교로 시작하여 대현공립심상소학교, 대현공립국민학교를 거쳐 1996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1960년대 이후 여러 차례 학교 부지를 이전했고, 1980년대 이후 학생 수 증가에 따라 여러 학교로 분리되기도 했다. 현재 다양한 교과 과정과 특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야구부를 중심으로 스포츠 활동도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남구의 초등학교 - 옥현초등학교
    옥현초등학교는 1993년에 개교하여 여러 시범학교 및 우수학교로 지정되었고, 전국소년체전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다문화이해교육 정책연구학교와 선플달기운동 우수학교로 선정되었다.
  • 울산 남구의 초등학교 - 옥서초등학교
    옥서초등학교는 1992년 설립 인가 후 1993년 옥동국민학교에서 분리 개교한 울산광역시의 초등학교로, 초등영어교육연구학교, 울산광역시교육청 지정 연구학교 및 시범학교로 운영되었다.
  • 1925년 개교 - 광성초등학교
    광성초등학교는 1925년 개원한 사립 광성학원이 모체로, 경기도에 위치하며 혁신학교 우수교로 선정되는 등 영어 독서 교육과 창의적 체험 활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초등학교이다.
  • 1925년 개교 - 왕궁초등학교
    1925년 개교한 왕궁초등학교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 8,316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철쭉, 은행나무, 까치를 상징으로 한다.
  • 울산광역시의 초등학교 - 태화초등학교
    1975년 개교한 태화초등학교는 울산광역시에 위치하며, 우정초등학교와 명정초등학교로부터 학급이 편입되었고 병설유치원을 운영하며 2018년까지 총 10,728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울산광역시의 초등학교 - 울산초등학교
    울산초등학교는 1907년 개교하여 일제강점기 시기 교명 변경을 거쳐 광복 후 울산국민학교로 환원, 1996년 울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2014년 유곡동 혁신도시로 이전한 울산광역시의 오랜 역사를 가진 초등학교이다.
대현초등학교 (울산)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교 정문
학교 정문
교명대현초등학교
한자 표기大峴初等學校
영문 표기Daehyun Elementary School
위치대한민국 울산광역시 남구 수암로 165-3 (야음동 687-2)
개교1925년 7월 8일
설립 형태공립 초등학교
교화국화
교목은행나무
학교 운영
학교장임길엽 ()
교직원 수58명 (2020년 5월 1일 기준)
교사 수32명
학생 수962명 (2013년 기준), 990명 (2020년 5월 1일 기준)
학급 수39개
학급당 학생 수26.7명
교사 대 학생 비율~25:1
수업 시간5.5시간/일
교실 수41개
상위 기관울산광역시교육청
관할 교육청강남교육지원청
학년별 학생 수 (2013년 기준)
유치원49명
1학년134명
2학년144명
3학년153명
4학년148명
5학년139명
6학년181명
기타14명
주소 정보
우편 주소687-2 야음동 (165-3 Suam-ro) Nam-gu
기타 정보
웹사이트대현초등학교 홈페이지

2. 학교 연혁


  • 1924년 5월 4일 설립인가
  • 1925년 7월 8일 '''대현공립보통학교''' 개교SK에너지 울산Complex 자리
  • 1930년 3월 22일 6년제로 개편
  • 1938년 4월 1일 교명 변경 ('''대현공립심상소학교''')
  • 1941년 4월 1일 교명 변경 ('''대현공립국민학교''')
  • 1963년 3월 1일 선암동 교사선암초등학교 자리로 신축 이전
  • 1968년 4월 1일 여천국민학교 분리(10학급)
  • 1973년 3월 1일 교사 신축 이전(야음동 현 위치 27학급)
  • 1981년 3월 1일 수암국민학교 분리(600명 이관)
  • 1981년 9월 1일 남부국민학교 분리(1,000명 이관)
  • 1983년 11월 1일 야음국민학교 분리(9학급)
  • 1986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
  • 1996년 3월 1일 현재 교명으로 변경
  • 2002년 3월 2일 동백초등학교 분리(462명 이관)
  • 2003년 9월 1일 도산초등학교 분리(88명 이관)
  • 2012년 5월 1일 인조 잔디 운동장 완공
  • 2018년 2월 21일 제91회 졸업(125명 졸업 총 졸업생 19,962명)
  • 2018년 3월 1일 42학급(특수 2학급), 유치원 2학급 편성
  • 2019년 2월 21일 제92회 졸업(125명 졸업, 총 졸업생 20,914명)
  • 2019년 3월 1일 41학급(특수2학급), 유치원 2학급 편성
  • 2020년 2월 18일 제93회 졸업(154명 졸업, 총 졸업생 21,068명)
  • 2020년 3월 1일 39학급(특수1학급), 유치원 2학급 편성
  • 2021년 2월 9일 제94회 졸업(144명 졸업, 총 졸업생 21,212명)
  • 2021년 3월 1일 40학급(특수1학급), 유치원 2학급 편성
  • 2021년 3월 1일 제32대 윤순금 교장 취임

2012년에 완공된 새로운 운동장

2. 1. 설립 초기 (1924년 ~ 1963년)

1924년 5월 4일 설립 인가를 받아 1925년 7월 8일 '''대현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위치는 현재의 SK에너지 울산Complex 자리였다. 1930년 3월 22일 6년제로 개편되었으며, 일제강점기1938년 4월 1일에는 '''대현공립심상소학교'''로, 1941년 4월 1일에는 '''대현공립국민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63년 3월 1일 선암동 교사(현 선암초등학교 자리)로 신축 이전하였다.

2. 2. 교사 이전 및 발전 (1963년 ~ 1996년)

1963년 3월 1일 대현공립국민학교는 선암동 교사(現 선암초등학교 자리)로 신축 이전하였다. 1968년 4월 1일에는 여천국민학교가 10학급 규모로 분리되었다. 1973년 3월 1일에는 야음동 현 위치로 교사를 신축 이전하면서 27학급으로 편성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 울산 지역의 산업화와 인구 증가로 인해 학교 규모가 확장되었다. 1981년 3월 1일 수암국민학교로 600명이 이관되었고, 같은 해 9월 1일에는 남부국민학교로 1,000명이 이관되었다. 1983년 11월 1일에는 야음국민학교가 9학급 규모로 분리되었다. 1986년 3월 1일에는 병설유치원이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대현국민학교는 현재의 교명인 대현초등학교로 변경되었다.

2. 3. 현재 (1996년 ~ 현재)

1996년 3월 1일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2002년 3월 2일 동백초등학교로 462명이 이관되었고, 2003년 9월 1일에는 도산초등학교로 88명이 이관되어 분리되었다. 2004년 10월 26일에는 체육관이 개관하였다.[2] 2012년 5월 1일 인조 잔디 운동장이 완공되었으며, 학교의 야구 및 육상 팀에서 사용하고 있다. 울산에서 유일하게 야구팀과 양질의 경기장을 갖춘 학교이기 때문에, 다른 학교 및 도시의 야구팀들이 대현초등학교에서 토너먼트를 개최한다.[2][5]

2018년 2월 21일 제91회 졸업(125명, 총 졸업생 19,962명) 후 2018년 3월 1일 42학급(특수 2학급), 유치원 2학급이 편성되었다. 2019년 2월 21일 제92회 졸업(125명, 총 졸업생 20,914명) 후 2019년 3월 1일 41학급(특수2학급), 유치원 2학급이 편성되었다. 2020년 2월 18일 제93회 졸업(154명, 총 졸업생 21,068명) 후 2020년 3월 1일 39학급(특수1학급), 유치원 2학급이 편성되었다. 2021년 2월 9일 제94회 졸업(144명, 총 졸업생 21,212명) 후 2021년 3월 1일 40학급(특수1학급), 유치원 2학급이 편성되었으며, 같은 날 제32대 윤순금 교장이 취임하였다.

3. 학교 상징



학교의 로고는 톱니바퀴 안의 체크 표시이며 지혜와 건강을 상징한다.

국화는 "진실, 성실"을 뜻하며, 대현초등학교의 교육이 참되고 진실됨을 의미한다. 또한 국화는 순수함과 청결을 상징한다.

은행나무이다.

3. 1. 교표



학교의 로고는 톱니바퀴 안의 체크 표시이며 지혜와 건강을 상징한다.

3. 2. 교화

국화는 "진실, 성실"을 뜻하며, 대현초등학교의 교육이 참되고 진실됨을 의미한다. 또한 국화는 순수함과 청결을 상징한다.

3. 3. 교목

은행나무이다.

4. 교육 활동

대현초등학교 학생들은 국어, 영어, 한자, 수학, 사회, 과학, 컴퓨터, 미술, 체육, 음악, 보건, 도덕, 실과 등 다양한 과목을 배운다.

학습 장애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더 도전적인 학습이 필요한 영재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4. 1. 교과 과정

대현초등학교 학생들은 국어, 영어, 한자, 수학, 사회, 과학, 컴퓨터, 미술, 체육, 음악, 보건, 도덕, 실과 등 다양한 과목을 배운다.

학습 장애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더 도전적인 학습이 필요한 영재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4. 2. 특성화 프로그램

대현초등학교에서는 학습 장애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과 더 도전적인 학습이 필요한 영재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4. 3. 방과 후 활동

대현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방과 후 활동으로는 피아노, 바이올린, 리코더, 단소, 댄스, 십자수, 독서 클럽, 미술 클럽, 영어 드라마 클럽, 한국어 드라마 클럽, 컴퓨터 클럽 등이 있다.[3][4]

5. 학교 시설

2004년 10월 26일, 체육관이 처음 문을 열었다.[2] 2012년에는 새로운 운동장이 완공되었으며, 학교의 야구 및 육상 팀에서 사용하고 있다.[2][5] 울산에서 유일하게 야구팀과 양질의 경기장을 갖춘 학교이기 때문에, 다른 학교 및 도시의 야구팀들이 대현초등학교에서 토너먼트를 개최한다.[2][5]

6. 학교 행사

대현초등학교 학생들은 매년 봄에는 운동회, 학년말에는 대현 장기자랑과 같은 특별 활동에 참여한다.

매달 하루는 학생들이 점심시간에 음식을 남기지 않도록 권장하며, 음식을 다 먹으면 스티커를 받는다.

매주 목요일은 학교 급식실에서 학생들에게 특별히 맛있는 점심을 제공하는 "맛있는 점심의 날"이다.

7. 학교 동문

배은혜(배은혜/裵恩惠한국어)는 2013년까지 대현초등학교에서 체육 교사로 재직했으며,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여자 유도 70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6]

정주현(상무 야구단)은 상무 야구단의 중견수이자 2루수였으며, 대현초등학교를 졸업했다.[7]

전원책은 대한민국의 작가이자 방송인으로, 1966년 대현초등학교를 졸업했다.[8][9]

7. 1. 주요 동문

정주현(상무 야구단)은 상무 야구단의 중견수이자 2루수였으며, 대현초등학교를 졸업했다.[7] 전원책은 대한민국의 작가이자 방송인으로, 1966년 대현초등학교를 졸업했다.[8][9]

8. 교직원

배은혜는 2013년까지 대현초등학교에서 체육 교사로 재직했으며,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여자 유도 70kg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6] 정주현상무 야구단의 중견수이자 2루수였으며, 대현초등학교를 졸업했다.[7] 전원책은 대한민국의 작가이자 방송인으로, 1966년 대현초등학교를 졸업했다.[8][9]

9. 스포츠 활동

대현초등학교의 야구팀은 1986년에 창단된 학교의 유일한 공식 스포츠 팀이며, 지역 대회에서 세 번 우승했다.[1][2] 울산에서 야구팀을 보유한 유일한 초등학교이기 때문에 프로 선수 지망생들에게 인기가 많으며, 도시 외곽에서 통학하는 학생들도 있다.[1][2]

비공식 스포츠팀으로는 배구, 축구, 농구, 배드민턴, 탁구, 피구, 테니스, 육상, 줄넘기 등이 있다.

9. 1. 야구부

대현초등학교의 야구팀은 학교의 유일한 공식 스포츠 팀이다.[1][2] 1986년에 창단되었으며, 그 이후 지역 대회에서 세 번 우승했다. 대현초등학교는 울산에서 야구팀을 보유한 유일한 초등학교이며, 이 때문에 프로 선수 지망생들에게는 꼭 다녀야 하는 학교가 되었다. 심지어 도시 외곽에서 통학하는 학생들도 있다.[1][2]

9. 2. 기타 스포츠팀

대현초등학교의 야구팀은 1986년에 창단된 학교의 유일한 공식 스포츠 팀이며, 지역 대회에서 세 번 우승했다.[1][2] 울산에서 야구팀을 보유한 유일한 초등학교이기 때문에 프로 선수 지망생들에게 인기가 많으며, 도시 외곽에서 통학하는 학생들도 있다.[1][2]

비공식 스포츠팀으로는 배구, 축구, 농구, 배드민턴, 탁구, 피구, 테니스, 육상, 줄넘기 등이 있다.

10. 학교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울산 대현초등, 롯데기 야구대회 정상 http://sports.media.[...] Daum Sports 2007-04-12
[2] 웹사이트 프로야구 유치기념 초등 야구대회 http://www.iusm.co.k[...] Ulsan Mae-il (울산매일) 2012-04-09
[3] 웹사이트 제8회 울산아동극경연대회 시상식 http://news.use.go.k[...] Education News (교육홍보관) 2012-09-28
[4] 웹사이트 제5회 바다사랑 그림그리기 시상식 http://enews.kcg.go.[...] 2010-06-15
[5] 웹사이트 대현초 운동장 '인조잔디' 새단장 http://www.ulsanpres[...] 2012-05-01
[6] 웹사이트 '아시안게임 퀸카' 여자 유도 배은혜 선수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news.sbs.co.k[...] SBS News null
[7] 웹사이트 정주현 http://k.daum.net/qn[...] Daum null
[8] 웹사이트 전원책 연보 http://www.junwc.co.[...] null
[9] 웹사이트 전원책, ''朴 당선인, 1년 뒤에 정말 위험해진다'' http://www.nocutnews[...] No Cut News 2013-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